2014년 12월 17일 수요일

'Learning' 에 대하여

오늘 교수님과 학습 과정에 대해 토론 할 일이 있었는데,(사실 토론이라기 보다는 수업에 가까웠지만) 일단 나의 주장은, 많이 알면 (무조건) 연구에 도움이 될 거 같다였다. 한 예로, 최근에 알고리즘에 관심이 생겨서, 다이내믹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좀 더 공부하고 싶었고, 좀 더 자세히 알면 뭔가(?) 도움이 될 거 같다였다.

교수님 얘기는 정말 의미가 있을까? 였다. 교수님은 보통 Why? 를 항상 얘기한다.
시간은 한정되어 있고, 좀 더 가치있게 쓰는 게 좋은데, 이미 언제 써야 하고 컨셉을 알고 있다면, 지금 별로 필요하지도 않은 타이밍에 그걸 공부하는 건 의미가 없을 거 같다였다.
그리고 더 중요한 건 '자세한 내용'은 보통 시간이 지나면 잊어먹고, 추후에 필요할 때 결국 다시 공부해야 된다였다.(특히 바로 써먹지 않으면)
갑자기 머리가 깨이는 느낌이 들었다. 교수님의 용어로 이런 걸(원래 있는 용어인지도 모르겠다) Lazy Learning 이라고 한단다. 배우는 거에도 Lazy 가 있는거구나!

그러고보니, 2년쯤 전에 NHN NEXT 학장님하고 얘기를 하고 있었는데, 학장님이 올린 공대얘기를 해주었는데, 핵심은 대학 공부를 시작 할 때, 필요한 과목을 바로 배우지 않고, 프로젝트(목표)를 정하고, 그거에 맞추어서 필요한 과목을 배운다는 점이었다. 사실 이렇게 해도 배우는 크게 차이가 없을 거 같기도 하지만, 동기와 새로운 문제를 해결할 때 공부하는 방법을 배운 다는 점에서 졸업후에, 연구할때 일할 때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. 사실 그때는 사실 오 '좋겠구나' 정도였는데, 요즘은 저렇게 해야만 제대로 배울 수 있지 않을까? 하는 생각이 든다. 특히 어떻게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고, 접근 하는 지에 대해 아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.

한편으로는, 기존에 MOOC 에서 알고리즘을 공부할 때 마다 끝내지 못한 게 게을러서 그랬다고 생각했는데, 사실은 명확한 목표가 필요했던 게 아닐까 싶다. 물론 사실 컨셉도 모르는 알고리즘도 있어서 공부하긴 해야하지만, 이번에는 과제를 전부 해보는게 아니라, 알고리즘을 보고 어디에 어떻게 써먹을 수 있을지 고민해보는 형태면 좋을 거 같다.

또한 공부할 때 어떻게 해야 되는지에 대해서도 교수님과 많은 토론을 할 수 있었는데,
솔직히 학교 졸업 이후로 학습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고 얘기드렸더니,
학교 다닐때 했던, 노트 필기나, 짧은 수업 시간에 집중해서 생각하는 것등, 여러가지로 학습을 하는 방법에 대해 얘기할 수 있었다.
교수님이 보내준 참고자료는, 어떻게 정보를 습득하고 인덱싱할 것인가에 대한 것과, 비판적으로 사고하기!
http://lifehacker.com/how-to-better-retain-information-from-books-articles-1674677444
http://lifehacker.com/enhance-your-critical-thinking-skills-with-these-socrat-1672909712

만학도로 박사 과정을 시작하고 나서, 제일 좋은 건 어떻게 생각하고, 어떻게 시간을 관리하고, 그리고 어떻게 공부하는 지, 학습하는 지, 특히 문제를 해결하는 법을 배운다는 점인 거 같다. 이런 걸 배우고 경험할 때 마다, 내가 꽤 논리적인 사람인지 알았는데, 학교에 오니, 비논리적인 용어와, 생각을 남발하는 한명의 학생이구나 싶다. 그래도 한걸음 한걸음 어제와 달라지는 걸 느낄 수 있는데, 역시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마음으로 공부하는 것의 장점이랄까!